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

앞으로 나아가는 프로 개발자

프로필사진
  • 글쓰기
  • 관리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RSS

앞으로 나아가는 프로 개발자

검색하기 폼
  • h_json (96)
    • 📱 Android (64)
      • 💻 Kotlin (22)
      • 🔍 UI (14)
      • 💡 개념 (24)
      • 📘 기타 (4)
    • 💼 Backend (0)
      • ☕ Java (0)
      • 🍃 Spring (0)
      • 📦 Database (0)
    • 🐧 Linux (21)
    • 📖 CS (0)
      • 🧱 자료구조 & 알고리즘 (11)
  • 방명록

hashset (1)
[자료구조 & 알고리즘] 4. 자바의 Hash Table

자바의 Hash Table1. Hash Table• 해시  함수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탐색(빠른 탐색)이 가능한 자료구조• key-value 쌍의 데이터를 저장하여, 데이터를 꺼낼 때 key를 통해 value를 가져올 수 있음.•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배열을 내부적으로 사용.• 배열 형태로 저장한 데이터에 접근하는 인덱스를 만들기 위해 key 값을 해싱.     - 해시(hash) :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함수. 입력이 같으면 출력도 같음.     - Hash Table 내부에는 key값을 최적의 배열 인덱스 값으로 바꿔주는 해시 함수가 존재.     - 이 해시 함수는 어떤 key값을 입력 받아아도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배열의 크기보다 작은 정수를 결과로 출력해줌.• 즉..

📖 CS/🧱 자료구조 & 알고리즘 2024. 5. 6. 17:07
이전 1 다음
이전 다음
250x250
공지사항

Blog is powered by Tistory / Designed by Tistory

티스토리툴바

단축키

내 블로그
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
Q
Q
새 글 쓰기
W
W

블로그 게시글
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
E
E
댓글 영역으로 이동
C
C

모든 영역

이 페이지의 URL 복사
S
S
맨 위로 이동
T
T
티스토리 홈 이동
H
H
단축키 안내
Shift + /
⇧ + /
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