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눅스 실행 파일 만들기 실행 파일 • 윈도우에서는 파일 확장자를 통해 실행 파일을 구분 • 리눅스에서는 실행 권한이 있는 파일을 실행 파일로 구분 - 리눅스에서도 파일 확장자를 사용하지만 단순히 사용자가 해당 파일이 어떤 파일인지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하며, 윈도우처럼 파일 형식을 결정 짓거나 하는 역할이 아님 파일 실행 방법 • 실행할 파일의 경로 + 이름 을 셸에 입력하면 됨 이 글은 유튜브 뉴렉처 리눅스(Linux) 서버 강의/강좌 for 개발자 강의를 듣고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파일 소유자, 소유 그룹 변경 (chown, chgrp) 파일의 소유자, 소유 그룹 조회 • ls -l 명령을 통해 파일의 소유자, 소유 그룹 조회 가능 파일 소유자 변경 • chown 명령어를 통해 파일 소유자 변경 가능 chown [옵션] [소유자(:소유그룹)] [파일 또는 디렉토리] 파일 소유 그룹 변경 • chown 또는 chgrp 명령어를 통해 파일 소유 그룹 변경 가능 chgrp [옵션] [소유그룹] [파일 또는 디렉토리] 이 글은 유튜브 뉴렉처 리눅스(Linux) 서버 강의/강좌 for 개발자 강의를 듣고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사용자 그룹 조회, 생성, 수정, 삭제 사용자 그룹 • 리눅스는 다중 사용자를 편하게 관리하기 위해 사용자 그룹이 존재. • 예를 들어, 리눅스에서는 특정 그룹에 소속된 사용자만 파일에 접근할 수 있게 할 수 있음. • 사용자 그룹은 위처럼 주로 동일한 권한을 가져야 하는 사용자들끼리 묶는 것. • 모든 계정은 반드시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속해있음. - 계정을 생성할 때 어느 그룹에 들어갈 건지를 명시하여 생성함. - 따로 지정하지 않는다면 사용자 이름과 동일한 이름의 그룹이 기본으로 생성되어 여기에 들어가짐. • 여러 그룹에 소속되는 것도 가능함. Primary Group과 Secondary Groups • 리눅스의 사용자 그룹은 Primary Group과 Secondary Groups으로 나뉨. • P..
사용자 계정 조회, 생성, 삭제 (useradd와 adduser의 차이) ※ 참고 : 리눅스 계정 종류 • 루트 계정 : 관리자 권한의 계정 • 시스템 계정 : 리눅스 시스템이 필요로 하여 자동으로 생성하는 계정. 일반적으로 로그인할 수 없음. • 사용자 계정 :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는 계정 사용자 계정 조회 • cat /etc/passwd 명령어를 통해 현재 리눅스의 존재하는 모든 계정의 정보 조회 가능 - 루트 계정, 시스템 계정, 사용자 계정 모두 나옴. • 시스템 계정을 제외하고 보고 싶다면 cat /etc/passwd | grep /bin/bash 명령어 사용 • 계정의 정보는 생략하고 계정의 이름만 보고싶다면 cat /etc/passwd | grep /bin/bash | cut -d: -f1 ..
리눅스의 파일 소유자, 권한 파일 소유자와 권한 • 리눅스는 다중 사용자를 지원하는 운영체제이기 때문에, 다른 사용자가 내 파일을 마음대로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기능이 존재 • 기본적으로 해당 파일을 생성한 사용자가 소유자가 됨. • 리눅스에는 파일마다 해당 파일의 읽기, 쓰기, 실행 권한이 존재 • 이 권한을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부여할 수 있음. • ls -l 명령을 통해 파일의 권한과 소유자를 확인할 수 있음. - ubuntu 계정으로 touch 명령을 통해 빈 파일 생성 - ls -l 명령을 통해 생성한 파일의 권한과 소유자 확인 ※ 참고 : ls -l 해석 • ls 는 list 명령어이고 원하는 경로에서의 파일 목록을 출력해줌. • -l 옵션은 long 포맷을 보는 옵션 $ ls -l -rw-r..
리눅스의 파일 편집기 vi • 모든 리눅스에 존재 • VIsual editor - vi가 등장하기 이전에는 한 줄 씩만 보며 편집이 가능했음. -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한 화면에 모든 텍스트를 볼 수 있는 visual editor가 등장 • vi name 명령어를 통해 name 파일을 vi 편집기로 열 수 있음. - name 파일이 없다면 생성해줌. • 명령 모드와 편집 모드가 있음. - 명령 모드에서는 키보드의 영문자들이 텍스트 입력을 위한 것이 아닌 단축키로 쓰임. - h : 왼쪽으로 커서 이동 - j : 아래쪽으로 커서 이동 - k : 위쪽으로 커서 이동 - l : 오른쪽으로 커서 이동 - i : 현재 커서에서 편집 모드 진입 - o : 행 추가하여 편집 모드 진입 - x : 현재 커서 글자 삭제 -..
링크 파일 (Link File) inode • 유닉스 계열에서 파일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'파일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는 파일' • 각 파일은 고유의 inode를 가지고 있음. • 파일이 갖고 있는 inode 안에는 그 파일에 대한 권한, 소유자, 파일의 실제 데이터가 들어있는 주소, 파일 생성/접근 시간 등이 들어있음. • index node • inode는 자신만의 고유 식별 번호가 존재함. - ls -i 명령어를 통해 각 파일들이 가진 inode의 고유 번호를 확인할 수 있음. - mv 명령어를 통해 파일을 이동시키면 inode가 같음. 즉, 같은 파일이 위치만 이동함. - cp 명령어를 통해 파일을 복사하면 두 파일은 inode가 다름. 즉, 복사하여 내용은 같지만 완전 다른 파일이 하나 만들어..
아카이브 파일, .tar 파일, .tar.gz 파일 아카이브 파일 (Archive File) • 여러 파일을 하나로 묶은 파일 • 대부분의 아카이브 파일은 압축 기능도 제공하여 압축 파일이라고도 함. • 묶은 파일들 + 메타 데이터로 구성 - 메타 데이터에는 묶은 파일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, 어떻게 복구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음. .tar 파일 (Tape Archive) • 유닉스 계열에서 사용하는 아카이브 파일 형식 • 파일을 묶는 것이 주 목적이고, 압축 기능이 없음. - 오히려 파일을 묶을 때 필요한 메타 데이터가 추가되므로 용량이 더 커짐. • 저장 장치로 자기 테이프를 이용하던 과거에,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짐. - 이름이 Tape Archive인 이유 • 리눅스의..